kokoko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kokoko

  • 카테고리 (87)
    • 컴퓨터 (8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
      • JAVA (32)
      •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6)
      • 파이썬 (2)
      • AWS (13)
      • 기타 (6)
      • 프로젝트 (1)
  • 홈
  • 태그
  • 방명록
운영체제 -프록시 서버

운영체제 -프록시 서버

1. 프록시 서버   프록시란 영어로 ‘대리인’을 의미합니다. 프록시 서버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대신 보내는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2. 사용 목적 1) 보안 부분 a) 익명성과 개인 정보 보호     - 웹 사이트에 접근할 때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숨기고 프록시 서버를 경유하여 익명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개인 정보 보호를 높일 수 있습니다.   b) 보안 및 필터링    -   프록시서버는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서버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검사하고 필터링하여 원치 않는 콘텐츠를 차단하거나 특정 사용자나 그룹의 웹사이트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안 및 웹 사용 제한을 관리합니다.  2. 성능 향상 부분a) 캐싱-  프록시 서버는 이전에 요청한 콘텐츠의 복사본을 저장하고, 동일한..

  • format_list_bulleted 운영체제
  • · 2023. 11. 5.
  • textsms
Python - 데코레이터

Python - 데코레이터

1. 데코레이터의 필요성 프로그래밍에서는 같은 코드 또는 공통적인 로직을 여러 번 작성하는 일이 있습니다. 특히, 특정 함수의 성능을 측정하거나 로깅, 권한 검사와 같은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코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고 가독성을 떨어뜨립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함수에 대해 각각 실행 시간을 측정합니다.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import time#logic1 시간 측정start = time.time()logic1()end = time.time()print(f"{end - start}")#logic2 시간 측정start = time.time()logic2()end = time.time()print(f"{end - start}"..

  • format_list_bulleted 파이썬
  • · 2023. 9. 12.
  • textsms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OSI 모델의 가장 상위 계층으로, 사용자와 컴퓨터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1. DNS(Domain Name Service)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 상에서 각각의 컴퓨터와 장치들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IP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어렵고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DNS를 이용하여  IP주소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으로 변경합니다.    기존에는 hosts 라는 파일을 만들고 호스트명과 IP를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들한테 ..

  • format_list_bulleted 네트워크
  • · 2023. 7. 29.
  • textsms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트랜스포트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과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에서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소스 호스트와 대상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포트(port)와 관련된 계층입니다. 이때 쓰는 포트라는 용어는 라우터, 허브에 쓰이는 포트랑 다른 개념입니다.  1. 포트(Port)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포트란 특정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인 접속 지점입니다. 포토는 2^16으로 부호 없는 정수 0~65535번이 될 수 있습니다. ip주소 뒤에 :를 붙혀서 표현합니다. (10.0.0.1:8888)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

  • format_list_bulleted 네트워크
  • · 2023. 7. 28.
  • textsms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중간 계층입니다.      1. 라우터(Router)   라우터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는 여러 개의 노드를 거쳐 최종 목적지로 전달됩니다.  이때 라우터는 패킷을 이동시키고, 그 다음으로 이동할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도 라우터의 일종입니다.     스위치로 연결된 영역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혹은 "LAN(Local Area Network)"이라고 불립니다. 서로 다른 LAN영역을 통신하기 위해서 라우터를 거쳐서 이용합니다.  2. IP(Internet Proto..

  • format_list_bulleted 네트워크
  • · 2023. 7. 23.
  • textsms
네트워크 - 네트워크(물리,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 네트워크(물리, 데이터링크 계층)

아래의 OSI 7계층에서 맨 아래부터 1~7계층이라고 하며 이 중에서 물리, 데이터링크는 각 각 1,2계층입니다.   1.  1계층(물리계층) 네트워크에서 물리계층이란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전송하는 계층을 말합니다. 즉, 실제로 데이터를 보내는 담당을 합니다. 다음은 물리계층과 관련된 장치들입니다. - 케이블  1) UTP케이블  UTP(Unshielded Twisted Pair)는 쉴드로 감싸지 않은 꼬인 구리선의 의미로 송신용, 수신용으로 구분되어져 있습니다.이때문에 전 이중 통신이 가능합니다.(송수신 둘다 가능)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도 준수해서 많이 쓰입니다.   2) 동축 케이블  자기장 간섭이 적어서 UTP케이블보다 먼 거리 송수신 가능, 단 선이 1개라서 반 이중 통신만 가능합니다.  3..

  • format_list_bulleted 네트워크
  • · 2023. 7. 22.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6
  • 7
  • 8
  • 9
  • 10
  • 11
  • 12
  • ···
  • 15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이 블로그는
전체 카테고리
  • 카테고리 (87)
    • 컴퓨터 (8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
      • JAVA (32)
      •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6)
      • 파이썬 (2)
      • AWS (13)
      • 기타 (6)
      • 프로젝트 (1)
최근 글
인기 글
태그
  • #java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AWS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stepfunctions
  • #JPA
  • #first-class collection
  • #Spring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