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koko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kokoko

  • 카테고리 (87)
    • 컴퓨터 (8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
      • JAVA (32)
      •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6)
      • 파이썬 (2)
      • AWS (13)
      • 기타 (6)
      • 프로젝트 (1)
  • 홈
  • 태그
  • 방명록
AWS - API Gateway Websocket

AWS - API Gateway Websocket

1. WebSocket 소개 1.1 WebSocket? WebSocket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일반적으로 HTTP는 요청-응답 구조로 한 번 요청하면 한 번 응답을 받는 형태로 작동하지만, WebSocket은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소켓을 이용해 데이터 스트림을 주고받는 것과 유사한 형태로, 특히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HTTP와 WebSocket의 차이점연결 방식:HTTP는 기본적으로 단일 요청 후 연결이 종료되는 방식이지만, WebSocket은 한 번 연결이 성립되면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양방향 통신:HTTP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서..

  • format_list_bulleted AWS
  • · 2024. 9. 21.
  • textsms
AWS - CloudFormation

AWS - CloudFormation

1. AWS CloudFormation 소개 1.1. AWS CloudFormation   AWS CloudFormation은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AWS 리소스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대신, 템플릿 파일을 사용해 자동으로 인프라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CloudFormation은 템플릿을 기반으로 다양한 리소스를 생성, 업데이트, 삭제하는 일련의 작업을 관리하며, 이 과정에서 리소스 간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1.2. 그래서 CloudFormation을 사용하는 이유 CloudFormation을 사용하면 인프라 관리가 훨씬 간편해지고, 실수를 줄이면서도 일관된 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러 AWS 서비스를 활용해 복잡한 아키텍처를 구성할 때..

  • format_list_bulleted AWS
  • · 2024. 8. 29.
  • textsms
AWS - Serverless Architecture(AWS Lambda)

AWS - Serverless Architecture(AWS Lambda)

1. 서버리스(Serverless) 서버리스(Serverless)란 서버 관리의 부담을 낮추고 온전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입니다.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기보다는, 서버 관리가 개발자에게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버리스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작성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예: AWS, Azure, Google Cloud)가 애플리케이션 배포, 확장, 모니터링, 유지관리 등의 작업을 처리합니다.  요약하면 서버리스는 실제 서버가 존재하지만, 인프라와 서버 관리의 모든 부담을 클라우드 제공자가 처리하여 개발자가 오로지 코드 실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서버리스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유지 보수 없..

  • format_list_bulleted AWS
  • · 2024. 7. 25.
  • textsms
AWS - CloudFront(1)

AWS - CloudFront(1)

1. AWS CloudFront AWS CloudFront는 Amazon이 제공하는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로, 글로벌 사용자를 대상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원본 서버에서 캐싱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요청 시 캐시된 데이터로부터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합니다.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은 마치 대도시에 있는 여러 배달 센터와 같습니다. 사람이 물건을 주문하면 가장 가까운 센터에서 빠르게 배달해주듯, CDN은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빠른 로딩 속도를 보장합니다. 이렇게 하면 배송 시간이 단축되고, 교통 체증 같은 문제로 인한 지연을 피할 수 있습니다. 결국 사용자에게 더 나은 ..

  • format_list_bulleted AWS
  • · 2024. 7. 4.
  • textsms
AWS -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AWS -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1. AWS RDS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WS RD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운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서비스는 EC2(Elastic Compute Cloud)와 EBS(Elastic Block Store)를 기반으로 하여 운영됩니다.   위 표를 보면 RDS의 특징을 잘 알 수 있습니다. AWS EC2에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면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관리, 백업, 보안 및 패치 작업을 사용자가 모두 책임져야 합니다.  반면, Amazon RDS는 이러한 관리 작업을 AWS에서 자동으로 처리해 주므로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의 운영에 대한 부담을 덜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에만 ..

  • format_list_bulleted AWS
  • · 2024. 7. 2.
  • textsms
AWS - EBS(Elastic Block Storage)/EFS(Elastic File System)

AWS - EBS(Elastic Block Storage)/EFS(Elastic File System)

1. EBS (Elastic Block Storage) EBS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운영체제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맞춤형 스토리지로, 다양한 볼륨 유형과 스냅샷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주요 특징- 루트 볼륨: EC2 인스턴스의 AMI가 설치되는 주요 볼륨으로, 운영체제 및 핵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여러 개의 EBS 연결 가능: 한 EC2 인스턴스에 여러 개의 EBS를 연결할 수 있어 스토리지 요구사항에 맞춰 확장이 가능합니다. - 같은 가용영역 내에서 사용: EBS와 EC2 인스턴스는 같은 가용영역(AZ)에 있어야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스냅샷 지원: EBS 볼륨의 백업 및 복원을 위해 스냅샷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다른 AZ나 리전으..

  • format_list_bulleted AWS
  • · 2024. 6. 25.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이 블로그는
전체 카테고리
  • 카테고리 (87)
    • 컴퓨터 (8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
      • JAVA (32)
      •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6)
      • 파이썬 (2)
      • AWS (13)
      • 기타 (6)
      • 프로젝트 (1)
최근 글
인기 글
태그
  • #오블완
  • #java
  • #stepfunctions
  • #Spring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티스토리챌린지
  • #JPA
  • #AWS
  • #first-class collection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