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WebSocket 소개 1.1 WebSocket? WebSocket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일반적으로 HTTP는 요청-응답 구조로 한 번 요청하면 한 번 응답을 받는 형태로 작동하지만, WebSocket은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소켓을 이용해 데이터 스트림을 주고받는 것과 유사한 형태로, 특히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HTTP와 WebSocket의 차이점연결 방식:HTTP는 기본적으로 단일 요청 후 연결이 종료되는 방식이지만, WebSocket은 한 번 연결이 성립되면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양방향 통신:HTTP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서..
1. 신장 트리와 최소 신장트리 1.1 신장 트리 신장 트리는 위와 같은 무방향 그래프에서 모든 정점을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없는 연결된 부분 그래프를 말합니다. 즉, 신장 트리는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며, 간선의 수는 정확히 V - 1개입니다(여기서 V는 정점의 수). 이는 트리가 가지는 기본적인 성질로, 사이클이 없으면서 모든 정점을 연결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신장트리는 아래와 같이 여러개를 가질 수 있습니다. 1.2 최소 신장 트리 최소 신장 트리는 신장 트리 중에서 간선의 가중치 합이 최소인 트리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경우 가중치 합이 11인 신장 트리가 최소 신장 트리입니다 (2+2+3+1+3=11). 이때 최소 신장 트리를 구하는 알고리즘 중의 하나가 크루스칼 알고리즘입니다. ..
1. 프로젝트 개요 1) 목적 및 배경https://github.com/kokoko12334/Recipe-recommendation GitHub - kokoko12334/Recipe-recommendationContribute to kokoko12334/Recipe-recommendat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위 프로젝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맞는 레시피 정보를 추천해주는 사이트입니다. 하지만 과거의 CSV 파일에 의존해 최신 레시피 데이터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개의 레시피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최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ETL 파이프라인을 구축합니다. 2) ..
1. AWS CloudFormation 소개 1.1. AWS CloudFormation AWS CloudFormation은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AWS 리소스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대신, 템플릿 파일을 사용해 자동으로 인프라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CloudFormation은 템플릿을 기반으로 다양한 리소스를 생성, 업데이트, 삭제하는 일련의 작업을 관리하며, 이 과정에서 리소스 간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1.2. 그래서 CloudFormation을 사용하는 이유 CloudFormation을 사용하면 인프라 관리가 훨씬 간편해지고, 실수를 줄이면서도 일관된 구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러 AWS 서비스를 활용해 복잡한 아키텍처를 구성할 때..
1. 구간합과 누적합 문제1) 구간 합(Range Sum) 구간 합 문제는 주어진 배열에서 연속된 특정 구간의 합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arr = [2, 4, 6, 8, 10]라고 할 때 - 인덱스 1~3까지의 합 = arr[1] + arr[2] + arr[3] = 4 + 6 + 8 = 18- 인덱스 0~3까지의 합 = arr[0] + arr[1] + arr[2] + arr[3] = 2 + 4 + 6 + 8 = 20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한 구간합 방식의 시간복잡도는 얼마나 될까요. 배열의 길이를 n이라고 하고, 구하고자 하는 구간합의 범위를 a에서 b까지(a, b ≤ n)라고 할 때, 구간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a, a+1, a+2, ..., b까지의 모든 원소를 더해야 합니다. 이러한..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