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koko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kokoko

  • 카테고리 (87)
    • 컴퓨터 (8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
      • JAVA (32)
      •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6)
      • 파이썬 (2)
      • AWS (13)
      • 기타 (6)
      • 프로젝트 (1)
  • 홈
  • 태그
  • 방명록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트리구조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트리구조

1. 트리 구조 및 용어 설명1. 루트 노드(Root node): 부모가 없는 제일 위의 노드(A)2. 단말 노드(Leaf node): 자식 노드가 없는 제일 아래 층의 노드들3. 내부 노드(Internal node): 루트노드와 단말 노드 사이의 노드들4. 간선(Edge): 노드들을 연결하는 선5. 깊이(Depth): 특정 노드를 가기 위한 간선의 개수(C의 깊이 = 2)6. 레벨(Level): 같은 깊이의 노드들(level1 = B,F,H)7. 차수(Degree): 자식  노드의 개수(B의 차수 = 2, H의 차수=1)8. 트리의 차수(Degree of tree): 트리의 최대 차수(=2)9. 서브 트리(Sub tree): 레벨 0 밑에서의 하위 트리 구조들 #기본개념class Node: def..

  • format_list_bulleted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 2022. 12. 30.
  • textsms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스택과 큐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스택과 큐

1. 스택(Stack) 위에서 아래로 탑을 쌓는 형식이며, 자료를 꺼내올때는 맨 위에서부터 꺼내온다.(Last in First out)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stack =[] def push(self, x): self.stack.append(x) def pop(self): pop_ = None if self.isEmpty(): print("Stack is empty") else: pop_ = self.stack.pop() return pop_ def isEmpty(self): is..

  • format_list_bulleted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 2022. 12. 26.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
  • 12
  • 13
  • 14
  • 15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이 블로그는
전체 카테고리
  • 카테고리 (87)
    • 컴퓨터 (8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
      • JAVA (32)
      •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6)
      • 파이썬 (2)
      • AWS (13)
      • 기타 (6)
      • 프로젝트 (1)
최근 글
인기 글
태그
  • #AWS
  • #stepfunctions
  • #first-class collection
  • #java
  • #JPA
  • #오블완
  • #Spring
  • #알고리즘
  • #티스토리챌린지
  • #자료구조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