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OSI 7계층에서 맨 아래부터 1~7계층이라고 하며 이 중에서 물리, 데이터링크는 각 각 1,2계층입니다.
1. 1계층(물리계층)
네트워크에서 물리계층이란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전송하는 계층을 말합니다. 즉, 실제로 데이터를 보내는 담당을 합니다. 다음은 물리계층과 관련된 장치들입니다.
- 케이블
1) UTP케이블
UTP(Unshielded Twisted Pair)는 쉴드로 감싸지 않은 꼬인 구리선의 의미로 송신용, 수신용으로 구분되어져 있습니다.
이때문에 전 이중 통신이 가능합니다.(송수신 둘다 가능)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도 준수해서 많이 쓰입니다.
2) 동축 케이블
자기장 간섭이 적어서 UTP케이블보다 먼 거리 송수신 가능, 단 선이 1개라서 반 이중 통신만 가능합니다.
3) 광 케이블
빛을 이용하는 케이블로, 전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많이, 더 빨리 전송할 수 있습니.
- 리피터(Repeater)
리피터란 신호를 증폭시켜서 먼 거리에서도 송수신이 가능하게 만드는 장치입니다.
서로 연결된 지점에서 거리가 멀 수록 신호가 왜곡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왜곡된 신호를 리피터가 복원시켜, 먼 거리를 송수신하게 해줍니다.
- 허브(Hub)
허브는 네트워크 내에서 여러 컴퓨터나 장치들을 연결하는 중심 장비로, 연결된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역할을 합니다. 허브는 물리적 계층에서 작동하며,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의 전송 거리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허브를 통한 모든 데이터 전송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충돌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충돌을 감지하고 해결합니다. 이로 인해 허브는 반 이중 통신만을 지원합니다.
2.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인접한 노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고, 물리 주소(MAC 주소)를 사용하여 컴퓨터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계층입니다.
- 랜카드(Network Interface Card)
랜카드는 프레임(보낼 데이터)을 아날로그로 변환하고,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또한 랜카드는 MAC주소를 부여받아서 해당 사용자의 고유값을 지닙니다.
- 이더넷(Ethernet)
데이터링크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지역 네트워크(LAN)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위 그림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각 계층마다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냅니다.
이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링크 계층 트레일러"와 "데이터 링크 계층 헤더" 부분이 이더넷 프로토콜의 내용이 담겨져 있습니다.
1) 이더넷 구조
위 그림의 프레임은 각각 필드로 구분되며 각 필드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습니다.
- Preamble/SFD: 이더넷의 시작을 알림 (총 8바이트로 구성)
- Destination Address: 수신처 MAC주소(6바이트)
- Source Address: 송신처 MAC주소(6바이트)
- Length/Type: 상위계층의 프로토콜 타입이나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 길이 저장(2바이트)
- Data/Pad: 상위계층의 패킷을 말하며 데이터 크기가 크다면 pad를 추가(46~1500바이트)
- FCS(Frame Check Sequence): 해당 프레임이 손상 되었는지 체크(4바이트)
*MTU
MTU는 Maximum Transmission Unit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를 말합니다(byte).
- 브리지(Bridge)/스위치(Switch)
브리지(Bridge)는 여러개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을 분산, 충돌방지하는 장치입니다.
앞에서 설명한 허브는 반 이중 통신만 가능하다고 했습니다.(동시에 송수신 불가능) 반면에 브리지는 프로세서, 메모리같은 장치를 넣어서 논리적인 처리 기능을 추가한 것입니다. 보낼 mac주소를 보고 해당 mac주소에만 데이터를 전송이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트래픽과 네트워크의 성능이 개선되며 전 이중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스위치(Switch)는 브리지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차이점이라면 브리지보다 성능이 더 개선된 장치입니다. 스위치는 mac주소를 학습하여 좀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달을 지원합니다.
'컴퓨터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DNS(Domain Name System) (0) | 2024.05.13 |
---|---|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 계층) (0) | 2023.07.29 |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트랜스포트 계층) (0) | 2023.07.28 |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네트워크 계층) (0) | 2023.07.23 |
네트워크 - 네트워크(개요) (0) | 2023.07.07 |